여건 (삼국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건은 조조 휘하의 장수로, 연주에서 종사로 등용되어 군사를 이끌고 산양군을 지켰다. 그는 반란을 진압하고 태산 태수를 겸임하며 곽조 등을 항복시키는 등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다. 조비가 왕위에 오르자 비장군이 더해지고 서주 자사로 임명되었으며, 왕상을 등용하여 칭찬을 받았다. 또한, 이성군 반란을 진압하고 조예가 즉위한 후 만년정후에 봉해졌다. 진수는 그를 이통, 장패, 문빙과 함께 주군을 지키고 위엄과 은혜를 보인 인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조와 주변 인물 - 관우
관우는 후한 말기 ~ 삼국시대 촉한의 무장이자 정치인으로, 유비, 장비와 도원결의를 맺은 의형제로서 유비를 보좌하며 뛰어난 무예와 충절로 이름을 알렸으나, 손권의 계략으로 최후를 맞이한 후 동아시아에서 신으로 숭배받고 대중문화에서 영웅적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강직함과 자만심이 정치적 판단력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도 받는 인물이다. - 조조와 주변 인물 - 문소황후
문소황후는 후한 말기 조위의 인물로 조비의 황후이자 조예의 생모이며, 원희와 혼인했으나 조비의 아내가 되어 총애를 받았지만 소외되어 자결했고, 사후 조예에 의해 황후로 추존되었으며, 뛰어난 미모와 덕행, 조식과의 로맨스 설화로도 유명하다. - 조위 사람 - 반악
반악은 서진 시대의 문인으로, 빼어난 문학적 재능과 외모로 명성을 얻었지만 사마륜의 쿠데타로 처형되었으며, 슬픔과 비애를 섬세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태강문학을 이끌었다고 평가받는다. - 조위 사람 - 신헌영
신헌영은 삼국시대 위나라와 서진 시대의 여성으로, 뛰어난 지혜와 통찰력으로 조비의 경솔함을 지적하고 고평릉 사변에서 동생을 도왔으며 종회의 반란을 예측하는 등 선견지명을 보였고, 그녀의 지혜와 덕망은 사마의에게 인정받았으며 검소한 생활 태도는 모범이 되었다. - 문화에 관한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문화에 관한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유비를 중심으로 184년부터 280년까지의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저술한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역사 소설로, 격동적인 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의 활약상을 다루며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왔다.
| 여건 (삼국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인물 정보 | |
| 이름 | 여건 |
| 로마자 표기 | Lyo Geon |
| 자 | 자각 |
| 출생 | 생년 미상 |
| 출생지 | 연주임성국 임성현 |
| 사망 | 사망지 미상 |
| 사인 | 병사 |
| 국적 | 후한 → 위 |
| 배우자 | 미상 |
| 자녀 | 여대 |
| 관직 및 작위 | |
| 주군 | 조조 → 조비 → 조예 |
| 주요 경력 | 양비교위 → 태산태수 → 겸 기도위 → 비장군 → 서주자사 겸 위로장군 |
| 작위 | 익수정후 → 만년정후 |
| 시호 | 미상 |
| 칭호 및 직책 | 위로장군, 만년정후 |
| 기타 정보 | |
| 특기 사항 | 장기간의 태산군 통치 |
2. 생애
여건은 담력과 책략이 뛰어나 조조에게 등용되어 여러 지역에서 반란을 진압하고, 백성을 안정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조조가 연주에 있을 때 여건을 종사로 등용하고 가병을 이끌게 하여 산양군 호륙(현재의 산둥성 지닝시 미산현)을 지키게 했다. 동해군의 양분 교위 두송의 부하인 굉모 등이 반란을 일으키자, 조조는 두송 대신 여건을 양분 교위로 임명했다. 여건은 반란 주모자들을 술자리로 초대하여 취하게 한 뒤 복병을 불러 모두 살해하고 잔당을 위무하여 반란을 진압했다.
조조는 여건에게 태산 태수를 겸임하게 했다. 곽조·공손독 등이 산에 의거하여 주민들에게 폭행을 가하자, 여건은 이들을 위무하여 항복시켰다. 항복한 자들을 농경 등에 종사하게 하고, 강한 자들은 병사로 등용하여 태산군의 병력을 정예하게 만들었다. 제남의 황건적 서화가 성을 공격하자 하후연과 함께 진압에 나서 수천 명을 참수·포획했다. 동래의 이조 등을 토벌할 때에도 공적을 세웠다. 조조는 여건을 무재로 천거하고 기도위를 더했다. 태산 태수로서 십수 년간 통치하며 위엄과 은혜를 보였다.
조비가 왕위에 오르자 비장군이 더해지고 익수정후에 봉해졌다. 서주자사가 되었으며, 위로장군이 더해졌다. 서주를 다스리면서 왕상을 별가로 등용하여 내정을 맡겼다. 여건은 왕상에게 특별한 검을 주었는데, 왕상은 서진에서 삼공보다 높은 지위에 올랐다.
이성군에서 반란이 일어나 태수 서질이 살해당하고 당자가 수령이 되자, 여건은 여러 군대와 함께 이를 토벌하여 큰 공을 세웠다.
조예 즉위 후 만년정후로 전봉되었고, 200호의 가증을 받아 소유는 600호가 되었다. 사후 아들 여번, 여번의 사후에는 그의 아들 여계가 뒤를 이었다.
진수는 여건을 주군을 지키고 위엄과 은혜를 보인 인물로서 이통, 장패, 문빙과 함께 칭찬했다.
2. 1. 연주에서의 활약
담력과 지략이 있어 연주를 장악하고 있던 조조에게 종사(從事)로 등용되고 산양군 호륙현(湖陸縣)을 지켰다. 양비교위(襄賁校尉)[1] 두송(杜松)의 부하 경모(炅母, 계모) 등이 반기를 들고 창희와 통하였다. 조조는 두송 대신 여건을 양비교위로 임명했다. 여건은 술과 음식을 차려놓고 경모 등 수뇌급 수십 명을 초청해 그들이 취한 사이 모두 처단하고 남은 무리를 진무하였다.[1]조조가 연주에 있었을 때, 여건에게 담력과 책략이 있다고 듣고 종사로 등용하여, 가병을 이끌게 하여 연주 산양군 호륙(현재의 산둥성 지닝시 미산현)을 지키게 했다.
그 무렵, 동해군의 양분 교위 두송의 부하인 굉모 등이 반란을 일으켜 창희와 통했다. 조조는 양분 교위를 두송에서 여건으로 바꾸었다. 여건은 도착하자 굉모 등 반란의 주모자들을 술자리에 초대하여 취하게 한 다음 복병을 불러 모두 살해하고, 잔당을 위무하여 반란을 진압했다.
2. 2. 태산태수 시절
원소가 중랑장으로 임명한 곽조·공손독 등 수십 명이 산에 의거하여 주민들에게 폭행을 가하자, 여건은 가병을 이끌고 도착하여 은혜와 신의를 보이면서 이들을 위무했고, 곽조 등은 모두 산을 내려와 항복했다.[1] 여건은 항복한 자들을 농경이나 다른 일에 종사하게 하는 동시에, 그중에서 강한 자들을 선발하여 병사로 등용했다. 이로 인해 태산군의 병사는 정예하기로 주군에서 으뜸이 되었다.[1]제남의 황건적 서화가 각지의 성을 공격하자, 여건은 하후연과 함께 진압에 나섰다. 전후 수십 번 싸워 수천 명을 참수하거나 포획했으며, 동래의 이조 등을 토벌할 때에도 공적을 세웠다.[1]
조조는 여건을 무재로 천거하고, 기도위의 지위를 더했다.[1] 여건은 태산 태수로서 십수 년간 통치하며 큰 위엄과 은혜를 베풀었다.[1]
2. 3. 위나라 건국 이후
220년(연강 원년),[2] 조비가 왕위에 오르자 여건은 태산태수에 비장군(裨將軍)이 더해지고 익수정후(益壽亭侯)에 봉해졌다. 이후 서주자사 겸 위로장군(威虜將軍)으로 승진하였다. 낭야군 사람 왕상을 별가(別駕)로 삼았는데, 세상에서는 현인을 임용할 줄 안다고 칭찬하였다. 여건은 왕상에게 "가져야 할 사람이 가지지 않으면, 이 검은 해를 끼칠지도 모른다. 그러나, 당신이라면 삼공도 될 만한 그릇을 가지고 있으니, 당신에게 이 검을 드리려고 한다"고 말하며 굳이 사양하는 왕상에게 억지로 검을 주었다. 왕상은 서진에서 삼공보다 상위의 지위에 올랐다.225년(황초 6년),[2] 이성군(利城郡)에서 반란이 일어나 태수 서질이 살해당하고, 당자가 수령이 되었다. 여건은 여러 군대와 함께 이를 토벌하여 큰 공을 세웠다. 226년,[3] 조예가 즉위하면서 만년정후(萬年亭侯)로 이봉되고 식읍은 2백 호가 늘어나 총 6백 호가 되었다. 사후 아들 여번(呂翻)이 뒤를 이었다.
3. 일화
여건에게는 패도(佩刀)가 있었는데, 칼을 만드는 장인이 그 칼을 보고 삼공에 오를 만한 칼이라 하였다. 여건은 왕상에게 "자격이 없는 자가 이 칼을 차면 해가 될지 모르오. 공보(公輔)의 기량이 있는 경에게 드리겠소."라며 굳이 사양하는 왕상에게 억지로 칼을 주었다. 왕상은 훗날 삼공의 지위에 올랐다. 왕상은 임종에 이르러 이복동생 왕람(王覽)에게 "너의 후세는 반드시 흥할 것이니 이 칼이 어울릴 것이다."라 하며 칼을 건넸다. 왕람의 후손들 역시 대대로 벼슬길에 올라 강동에서 번창하였다.[4]
조비 즉위 후 여건은 비장군, 익수정후에 봉해졌고, 서주자사를 거쳐 위로장군에 올랐다. 여건은 왕상을 별가로 등용하여 서주 내정을 맡겼는데, 사람들은 "어진 자를 잘 신임했다"고 칭찬했다. 여건은 삼공에 오를 수 있다는 칼을 왕상에게 주면서 "가져야 할 사람이 가지지 않으면 이 검은 해를 끼칠지도 모른다. 그러나 당신이라면 삼공도 될 만한 그릇을 가지고 있으니, 당신에게 이 검을 드리려고 한다"고 말하며 굳이 사양하는 왕상에게 억지로 주었다. 왕상은 서진에서 삼공보다 높은 지위에 올랐다.
4. 평가
조조는 여건을 무재로 천거하면서 "뜻이 있으면 반드시 이루어진다"라며 열사들이 행하던 바라고 칭찬했다. 또한 "태산에 부임하여 난을 진압하고 백성을 안정시켰으며, 돌과 화살도 무릅써 늘 승리했다"라고 평가했다. 이는 광무제 때 구순(寇恂)이 여남군과 영천군 일대에 이름을 남기고, 경감(耿弇, 경엄)이 청주와 연주에서 전략을 수립한 것과 같다고 칭송했다.[5]
진수는 이통, 장패, 문빙과 함께 여건이 주군을 지키며 위엄과 은혜를 드러냈다고 평가했다.[5]
5. 삼국지연의
유엽의 추천으로 조조를 섬기게 되었고, 모개를 조조에게 추천했다. 연주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이봉이 토벌되어 도망치려던 설란을 활로 쏘아 죽였다. 예형은 여건을 칼이나 벼리는 자라고 조롱했다.
6. 가계
- 아들: 여번
- 손자: 여계
참조
[1]
문서
양분교위가 아니라 양비교위라 발음하며 양릉교위(襄陵校尉)는 오기이다.
[2]
서적
삼국지
[3]
서적
삼국지
[4]
서적
진서
[5]
서적
삼국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